남도민요라고 하면 전라도·경상도·충청도의 일부 지역에서 불려지는 소리들을 총칭한다. 하지만 좁은 의미로 볼때는 전라도 지방의 민요만을 가리키기도 한다.
예전에는 장터나 마을의 큰마당으로 돌아다니며 소리판을 벌이던 소리꾼들이 있었다. 소고를 치며 노래하던 이 소리꾼들은 남사당패와도 많은 연관을 가지면서 소리를 팔아 생계를 유지했다.
이들에 의해 처음 불려진 남도민요의 형태는 ‘보렴’ 이나 ‘화초사거리’ 같은 염불소리였다. 이런 염불소리를 부르고 나서는 ‘육자배기’ ‘흥타령’ ‘개구리타령’ 등의 짧은 소리들을 불렀고, 그 끝에는 ‘새타령’ ‘까투리타령’ ‘진도아리랑’등 그 당시에 유행하던 갖가지 소리들을 분위기에 맞춰서 불렀다.
이 직업적인 소리꾼들이 부르던 소리를 농촌마을의 소리에 소질이 있는 사람들이 배워 부름으로써 그러한 노래들이 널리 퍼지게 되었다.
남도민요의 구성음은 미. 솔. 라. 시. 도. 레로 되어 있고 주요 음계는 미. 라. 시의 3음을 중심으로 한다. 이때 ‘미’음은 떠는음, ‘라’음은 평으로 내는음, 그리고 ‘도’에서 ‘시’로는 꺾는 음을 주로 쓰며 ‘라’로 끝을 맺는다. 여기서 ‘꺾는다’라는 말은 먼저 앞음을 강하게 내야 하므로 목소리를 꺾는 듯한 인상을 듣는 이가 받게 되는걸 의미한다.
남도민요의 창법은 굵은 목을 쓰기 때문에, 폭이 넓고 격렬하며 소리가 극적으로 표현되는 특징이 있는데, 이것이 바로 육자배기풍(육자배기토리, 남도민요조)의 소리다. 평평하게 길게 뻗는 목을 중심으로 해서 밑에서 굵게 떠는 목, 흘러내리거나 굴리는 목 등을 구사해 나가는 것이 그것인데, 이것을 시김새라고 하며, 이 시김새가 표현을 강하게 만들며 흔히 슬픈 느낌을 주고 있어 맺힌 한을 풀어나가는 듯한 감정을 불러일으키게 한다.
장단은 중모리 장단이 흔하게 사용되며, 진양 세마치 장단도 있다. 남도민요의 종류에는 ‘새타령’ ‘육자배기’ ‘농부가’ ‘흥타령’ ‘진도 아리랑’ ‘까투리타령’ ‘강강술래’ ‘화초사거리’등이 있다.
이중에서 대표적인 전라도 민요인 ‘육자배기’와 ‘진도아리랑’, ‘농부가’에 대해 살펴보자.
우선 ‘육자배기’는 전라도 소리조를 흔히 “육자배기토리”라고 할만큼 전라도 민요의 특징을 잘 나타내는 노래로서, 전라도 음악의 기본이 되는 민요이다. 이런 육자배기의 선율은 전라도 사투리를 쓰는 사람이 시를 흥얼거리면 저절로 만들어질 정도로 전라도 말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민요이다.
육자배기는 농부들이 소박하게 부르기도 하지만 대개는 명창들이 멋지게 불러서 청중들의 박수를 받는 민요이기도 하고, 특히 옛날 잡가꾼들은 공연을 통해서 육자배기를 많이 불렀다고 한다.
육자배기의 음악적 특징은 전형적인 남도 계면조(계면조는 서양음계의 단조를 생각하면 되는데 장조에 비해 약간 울적하고 처진 느낌을 준다)로 되어 있고, 박자도 독특한 6박자의 진양조 장단으로 되어있다. 노래 첫소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람이 살면은 몇 백년이나 살더란 말이냐
죽음에 들어서 남녀노소 있느냐
살아생전 시에 각기 맘대로 놀(거나 헤–)”
두 번째로 대표적인 남도 민요인 진도아리랑은 전라도의 아리랑으로, 전형적인 전라도 음악의 토리로 되어있다. 떠는 음, 평으로 내는 음, 꺾는 음이라는 세부분의 음을 뼈대로 하여 음계가 구성되고, 발성법이나 가사 발음법도 그런 음들을 잘 표현하도록 발달하였다. 장단은 세마치 장단이지만 조금 빨리 부를 때에는 중모리장단에 맞추어 부른다.
“아리아리랑 쓰리쓰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응응으응 아라리가 났네
문경 새재는 웬 고갠가 구부야 구부구부가 눈물이 난다
만경창파에 두둥둥 뜬 배 어기여차 어야디여라 노를 저어라…”
전라도에서 농부들이 논매기 같은 일을 할 때에 부르는 상사소리의 일종인 농부가.
여기서 말하는 상사소리란 후렴을 “상사디여”로 마치는 노래를 일컫는데 이런 노래는 대개 김매는 소리로 쓰인다. 농부가는 판소리 춘향가에 명창들이 한 대목으로 넣어 불리면서 세련되게 다듬어져 독창곡으로 널리 알려지기도 했다.
농부가는 전형적인 전라도의 계면조로 중모리 장단에 농부들의 힘찬 발장단에 맞추어 씩씩하며, 꽹과리와 장고의 가락이 곁들여지면 더욱 흥겹다.
각 민요마다 전해오는 일화가 있는 것은 앞에 경기민요에서 ‘천안삼거리’에 대해 언급한 적이 있었다. 이번엔 남도민요에 해당하는 너무나도 유명한 ‘강강술래’ 유래에 대한 이야기를 싣는다.
“임진왜란때 수군 통제사인 이순신 장군은 침투해 오는 왜적들에게 우리 군사의 수와 군량미 가 많이 있는 것 처럼 보이게 하려고 남해안일대의 산을 짚으로 덮어 곡식으로 착각하도록 만들었다. 그리고 인근의 부녀자들을 남자로 변장시켜 원무를 추며 놀게 함으로써 군사가 많 은 것처럼 보이게 했다. 물론 이것을 본 왜군들은 모두 놀라 달아나 버렸고, 바로 이때의 원 무 놀이가 강강술래의 시초가 되었다.”
강강술래는 전라남도 해안 일대인 여수, 순천, 진도, 목포 등지에서 성행하던 민속놀이를 할 때 부르는 민요로, 한 종류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여러 종류가 있다.
우선중모리 장단의 ‘느린 강강 술래’와 중중모리 장단의 ‘중강강술래’ 그리고 자진모리 장단의 ‘자진강강술래’ 이렇게 세가지가 존재한다. 이런 강강술래는 한 사람이 독창으로 앞소리를 메기면 여러 사람이 다함께 “강강술래~강강술래~”하면서 뒷 소리를 받는 형식으로 되어있다.
위에서 살펴본 남도민요는 몇 년전 타계한 만정 김소희 명창을 시작으로 그의 제자 신영희, 안향연, 안숙선등 모두 내로라하는 국악계의 중진들에 의해 계승되고 있다.
*다음엔 민요 마지막편으로 동부민요와 제주민요를 알아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