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적 구분으로 볼 때 동부민요는 태백산맥 동쪽의 강원도, 함경도, 경상도지방의 민요를 말한다. 세지방(강원도, 함경도, 경상도)을 포함하는 동부민요는 노래의 내용이나 창법, 장단에 있어 강원도, 함경도 지방과 경상도 지방으로 구분되어 조금씩 차이를 보인다.
우선, 강원도나 함경도의 민요는 탄식이나 애원조의 노래가 많고 가락상의 특성을 보면 높은 음에서 낮은 음 쪽으로 내려온다. 반면에, 경상도 지방의 민요는 빠른 장단을 사용하여 꿋꿋하고 씩씩한 느낌을 준다. 노래의 내용이나 분위기가 다른만큼 창법이나 음계에서도 차이를 보인다. 장단은 세마치 장단이나 자진모리 장단등 비교적 빠른 장단이 많이 사용된다.
동부민요의 음계를 살펴보면 미,솔,라,도,레의 5음으로, 그중에 특히 미,라,도 등의 3음이 주요 음계로 사용된다. 이중에서 도는 남도소리(전라도, 경상도, 충청도 일부지역에서 불리워지는 판소리, 민요, 단가, 잡가, 노동요 등 민간음악의 대부분을 일컫는데, 음 구성은 대부분 떠는목, 꺽는목, 평으로 내는목으로 구성된 3음을 사용한다. 판소리나 민요에서는 극적이고 풍부한 창법을 쓰는 것이 특징이고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휘모리 등 다양한 장단을 사용한다.)의 꺾는 음에 해당하고, 종지음은 미 또는 라로 되어있다.
대표적인 민요에는 ‘신고산타령’, ‘한오백년’, ‘정선 아리랑’, ‘강원도 아리랑’, ‘쾌지나 칭칭나네’, ‘성주풀이’, ‘밀양 아리랑’등이 있다.
그럼 여기서 대표적인 동부민요를 살펴보기로 하자.
우선 대표적인 강원도 민요인 한오백년을 보면, 이것은 전형적인 메나리토리-경상도, 강원도, 함경도, 충청도 지방 등의 민요와 무가에 나타나는 특징적인 선율형태로 구성음은 미,솔,라,도,레로 구성되어 있다.-로 되어 있는 민요로서, 경기 명창들이 즐겨 부르는 통속민요중 하나이다.
그동안에는 정선아리랑, 강원도 아리랑과 함께 경기 명창들에 의해 불리어지고 전국적으로 보급되었으며 대중가요로 다시 편곡되어 불려지기도 했다. 잘 알다시피 후렴구는 “아무렴 그렇지 그렇구 말구 한 오백년을 살자는데 웬 성화요”로 달관적인 자세를 보인다.
한오백년은 중모리(12박 장단으로 중모리의 ‘중’은 중간 속도라는 중(中)이고, ‘모리’는 몬다는 뜻을 갖고 있다. 중중모리, 자진모리와 함께 민속악 중에서도 판소리나 산조의 중심이 되는 장단이다.) 장단에 맞추어 4장단은 메기고, 4장단은 받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이 민요가 대중적으로 편곡이 되면서까지 널리 불리운 것은 후렴구의 달관적인 자세와 함께 “한 많은 이 세상 야속한 님아”에서 보여지는 질러내는 가락의 애절함이 듣는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기 때문이 아닐까…
한민족의 대표적인 민요인 아리랑 중에서 경상도 지방의 아리랑인 ‘밀양 아리랑’은 아랑의 전설- 순결을 지키고 억울하게 죽음에 이른 아랑이라는 처녀의 이야기-이 거론되는 민요이다.
실제로 밀양지방에 가면 ‘아랑각’이 있고, 봄철에는 ‘아랑제’라는 명칭으로 민속 축제가 벌어지고 있다. 밀양 아리랑은 세마치 장단의 경쾌한 노래로서, 배우기도 쉽고 부르기도 쉽다. 워낙 노래 자체가 씩씩해서 일제시대 만주 등지에서 독립운동을 하던 독립군들은 이 밀양 아리랑 곡조에 가 사를 붙여서 사기를 북돋고, 사명감을 불러 일으키는 군가로도 불렀다고 한다.
노랫말을 한 번 볼까.
“날 좀 보소 날 좀 보소 날 좀 보소 동지 섣달 꽃 본 듯이 날 좀 보소 (후렴) 아리 아리랑 쓰리 쓰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고개로 넘어 간다. 정든 님이 오셨는데 인사를 못해 행주치마 입에 물고 입만 방긋…”
마지막으로 ‘쾌지나 칭칭나네’는 경상도 지방에서 발달한 대표적인 민요로 쾌지나 칭칭나네가 무슨 뜻인지는 모르지만 후렴의 가사가 그렇게 되어 있기 때문에 그것이 노래 이름이 된 것이다.
이 노래는 많은 사람이 모여서 놀 때에 한 사람이 메기고 여러 사람이 받아주는 식으로 진행되며, 처음에는 느릿느릿 춤을 추면서 천천히(굿거리 장단) 부르다가 흥이 고조되면 빠른(자진모리) 장단으로 부르게 된다. 장단은 주로 꽹과리, 징, 장구, 북 등의 농악기를 사용하여 떠들썩하게 반주하는 것이 보통이며 가사가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즉흥적으로 메기면서 부르는 현장성이 있는 곡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