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about music

헤비메틀과 하위장르 Heavy Metal & Sub Genre ‘Heavy Metal’이란 용어의 기원은 뉴욕의 밴드 ‘블루 오이스트 컬트Blue Oyster Cult’가 데뷔했을 때 매니저인 샌디 펄먼이 다른 밴드와 차별짓기 위해 사용한 단어로, 60년대 미국의 대표적인 비트 작가, 월리엄 버로우즈의 소설 구절에서 따온 것이라 한다. (“The heavy metal kid”-『Nova Express』중에서) 장르로서의 헤비 메틀은 60년대 말, ‘크림Cream’이나 ‘지미 헨드릭스Jimi Hendrix’ … All about music 더보기

아리아리랑 쓰리쓰리랑 아라리가 났네~~

남도민요라고 하면 전라도·경상도·충청도의 일부 지역에서 불려지는 소리들을 총칭한다. 하지만 좁은 의미로 볼때는 전라도 지방의 민요만을 가리키기도 한다. 예전에는 장터나 마을의 큰마당으로 돌아다니며 소리판을 벌이던 소리꾼들이 있었다. 소고를 치며 노래하던 이 소리꾼들은 남사당패와도 많은 연관을 가지면서 소리를 팔아 생계를 유지했다. 이들에 의해 처음 불려진 남도민요의 형태는 ‘보렴’ 이나 ‘화초사거리’ 같은 염불소리였다. 이런 염불소리를 부르고 나서는 ‘육자배기’ … 아리아리랑 쓰리쓰리랑 아라리가 났네~~ 더보기

수심가 한자락에 멍울진 한 녹아들고…

지역에 따른 민요, 그 두 번째 서도민요편 서도 민요는 지역적으로 평안도와 황해도 지방의 민요를 말한다. 이런 서도민요의 선율을 구성하는 음에는 레.미.솔.라.도의 5음이 있는데, 서도민요는 그 중에서도 특히 레. 라. 도의 3음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서도민요는 소리꾼이나 향토민들이 의례 수심가를 먼저불러 수심가 토리라고도 한다. 서도민요의 특징이라고 한다면 단연 떠는 소리에 있다. 옛 노인들이 수심에 가득찬 애수로 … 수심가 한자락에 멍울진 한 녹아들고… 더보기